wee 클래스, 위 프로젝트란?
위 프로젝트란? 위 프로젝트는 나(I)와 너(You) 속에서 우리(We)를 발견할 수 있도록 사랑으로 지도하고, 학생에게 감성과 사랑이 녹아있는 위(wee) 공간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찾아내자는 의미입니다. 또한, 위 프로젝트는 학교, 교육청,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학생들의 건강하고 즐거운 학교생활을 지원하는 다중의 통합지원 서비스망입니다.위(Wee) 기관들은 학생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고민, 문제들을 심리평가, 상담, 치유의 과정을 거처 행복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학교에는 위클래스, 교육지원청에는 위센터, 교육청에는 위스쿨, 가정형 위 센터, 병원형 위 센터, 학교폭력 피해 학생 전담 지원기관,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 이수 기관 117 신고센터 등이 개설되어 ..
2025. 6. 10.
육아정책의 사회적 맥락, 공공갈등, 사회심리 등
🏛 1. 육아 정책의 사회적 맥락📉 출산율 하락대한민국은 세계 최저 출산율(2024년 기준, 합계출산율 0.7 내외)육아 부담이 개인과 여성에게 집중됨 → 사회 전체의 문제로 전환 필요🧩 육아 정책의 방향성유형예시특징현금 지원아동수당, 출산장려금즉각적이나 효과는 제한적보육 서비스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시간제 돌봄인프라 부족 문제 존재일·가정 양립육아휴직, 유연근무제직장문화 변화 필수양육 친화적 공간 조성수유실, 키즈존, 유모차 우선 좌석공공갈등의 중심이 되기도 함 ⚔ 2. 공공갈등의 주요 유형✳️ [1] 공간 갈등카페, 식당, 대중교통, 극장 등에서 아이 동반 고객과 일반 고객 사이의 갈등‘맘충’ 논란처럼 육아 여성을 혐오하거나 배제하려는 태도도 포함✳️ [2] 정책 수혜에 대한 갈등무자녀 가구 v..
2025. 6. 8.
미술치료에서의 색채상징
1) 상징의 개념과 의미우리는 상징을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며 우리가 언어로 소통하기 이전에 상징은 소통을 위한 도구로써 사용되어왔다. 모든 시대, 문명에 있어서 발전하고 존재해온 상징(Symbol)은 ‘동일성’과 같은 뜻으로 그리 스어 ‘symballein’과 ‘symbolon’에서 비롯된 것으로 ‘함께 던지다’, ‘비교하다’, ‘부호’, ‘기호’의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오랜 문명에선 상징을 힘으로 인식해왔으며 종교, 미술, 신화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 와서는 기호(sign), 표지 (mark), 도상(icon), 표(token)의 의미로 미술뿐만 아니라 영화, 문학, 광고 등 상징은 사용되고 있다. 상징의 정의는 연구자의 입장에 따라 다양하며 명확하게 규정하기는 어렵다. 상징은 근본적으로 ..
2025. 6. 7.